약은 대한민국 어느 지역에서나 손쉽게 구매할 수 있는 필수 생활재 중 하나다. 감기약, 두통약, 진통제, 소화제 등은 약국을 통해 손쉽게 구입할 수 있고, 병원에서 처방받은 약 역시 주민 누구나 의료기관을 거쳐 공급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쉽게 손에 들어오는 약은, 사용하고 남은 후부터는 전혀 다른 차원의 문제로 바뀐다. 바로 ‘폐의약품 처리’라는 문제다. 환경부는 가정 내 폐의약품을 일반쓰레기나 변기, 하수구 등에 버리는 것은 금지하고 있으며, 약국이나 보건소, 주민센터 등에서 마련된 전용 수거함을 통해 안전하게 수거하도록 지침을 내리고 있다. 문제는 이 수거 시스템이 전국적으로 통일되어 있지 않고, 특히 약국의 수거 참여율이 지역별로 큰 편차를 보인다는 점이다. 같은 대도시 안에서도 구마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