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8 2

폐의약품 처리, 왜 환경부와 보건복지부가 다르게 말할까?

먹다 남은 약, 유효기간이 지난 약, 복용을 중단한 처방약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많은 시민들은 폐의약품이 일반 쓰레기가 아닌 만큼, 반드시 별도 수거함이나 약국을 통해 폐기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막상 실천하려고 하면 혼란이 찾아온다. 약국에서는 “이건 저희가 받지 않아요”라고 말하고, 보건소에서는 “약국으로 가세요”라고 한다. 심지어 지자체 민원센터나 주민센터에서도 “환경부 기준은 이렇고, 보건복지부는 저렇다”는 식으로 부처마다 다른 설명이 제공되기도 한다. 왜 이런 일이 발생할까? 이유는 간단하다. 폐의약품 관리에 관여하는 정부 부처가 두 곳 이상이며, 이들이 각기 다른 기준과 역할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환경부는 폐기물로써의 관점에서 폐의약품을 다루고, 보건복지부는 보건의료..

폐의약품 2025.07.08

약국 직원에게 직접 들어본 폐의약품 배출 민원 Top 5

약국은 우리가 가장 자주 방문하는 1차 보건의료 공간이다. 병원에서 처방전을 받아 조제받을 때, 또는 간단한 소화제나 진통제를 구입할 때 늘 찾는 곳이 바로 약국이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간과하는 사실이 하나 있다. 바로 약국은 ‘약을 파는 곳’ 일뿐 아니라, 약을 책임지고 회수하는 공공 역할까지 담당하는 공간이라는 점이다. 환경부와 보건복지부는 폐의약품 수거체계의 일환으로 약국을 수거 거점으로 지정하고 있고, 이에 따라 약국에서는 시민들이 가져오는 남은 약, 유효기간 지난 약, 사용하지 않은 처방약 등을 수거함에 보관 후 보건소로 전달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약국 현장에서는 시민들의 폐의약품 배출 과정에서 적지 않은 민원이 발생하고 있다. 약국 직원들은 매일 수십 건씩 약을 정리하러 오는 손님을 상..

폐의약품 2025.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