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별 폐의약품 수거 정책 비교 (10대 도시 중심)
폐의약품은 국민 누구나 배출할 수 있는 생활 속 유해 폐기물이다. 먹다 남은 약, 유통기한이 지난 약, 복용하지 않는 처방약 등은 반드시 전용 수거함에 넣고 분리 배출해야 한다. 이를 위해 환경부는 전국 약국, 보건소, 일부 공공기관에 폐의약품 수거함 설치를 권고하고 있으며, 각 지방자치단체는 이에 따라 개별적인 수거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문제는 여기서 발생한다. 제도는 전국 공통이지만 운영 주체가 각 지자체이다 보니 실제 시민이 체감하는 수거 서비스 품질에는 지역 간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어떤 도시는 수거함 위치를 지도와 앱으로 안내하고 있지만, 어떤 도시는 약국을 돌며 수거 여부를 직접 물어봐야 하는 수준이다. 이번 글에서는 인구 10대 도시(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서울 vs 부산, 폐의약품 수거 정책 뭐가 다를까?
폐의약품은 단순한 쓰레기가 아니라, 제대로 관리되지 않으면 환경과 건강을 위협하는 유해 물질이다. 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한국 정부는 약국, 보건소 등을 중심으로 수거 체계를 마련했지만, 실질적인 운영은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인다. 특히 수도권 대표 도시인 서울과 영남권 중심 도시 부산은 행정 규모나 환경 정책 우선순위 측면에서 차이를 가지며, 폐의약품 수거 정책에서도 그 격차가 드러난다. 두 도시 모두 인구가 많고 고령층 비율도 높은 편이라 폐의약품 발생량도 상당하지만, 실제 시민들이 얼마나 쉽게 수거함을 찾고, 얼마나 자주 이용할 수 있는가는 전혀 다른 문제다. 이번 글에서는 서울과 부산의 폐의약품 수거 정책을 구조, 시스템, 홍보 방식, 시민 접근성 등의 측면에서 비교해 보고, 지역별 장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