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종량제 봉투에 폐의약품 넣는 지역, 아직도 존재한다
2025년 현재, 폐의약품은 더 이상 단순한 생활 쓰레기로 간주되지 않는다. 환경부는 폐의약품을 ‘생활계 유해폐기물’로 분류하고, 국민 누구나 가까운 약국이나 보건소, 주민센터에 설치된 수거함을 통해 안전하게 배출해야 한다고 안내하고 있다. 감기약, 소화제, 연고, 항생제 같은 일반 의약품뿐 아니라, 유효기간이 지난 알약과 시럽, 사용하지 않은 처방약 등도 모두 지정된 경로로 처리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현실은 이 이상적인 기준과는 거리가 멀다. 지금 이 순간에도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쓰레기 종량제 봉투에 폐의약품을 넣어 일반 생활 쓰레기와 함께 버리는 일이 빈번하게 벌어지고 있으며, 이는 구조적인 문제와 제도적 방치, 시민 인식 부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특히 약국이나 보건소가 멀리 있는 ..
약국 없는 군 단위 지역, 폐의약품 수거는 누구 몫일까?
폐의약품은 환경과 건강을 동시에 위협할 수 있는 생활 속 유해 폐기물이다. 감기약, 진통제, 연고, 항생제 등 가정 내에서 흔히 사용되는 약품들이 제대로 처리되지 않으면, 토양과 수질을 오염시키고 나아가 생태계 교란까지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은 이제 많은 시민들이 인식하고 있다. 환경부 역시 폐의약품은 반드시 약국이나 보건소, 주민센터 등에 마련된 전용 수거함을 통해 배출해야 한다고 안내하고 있으며, 일부 지자체는 폐의약품 수거율을 높이기 위한 캠페인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이 실질적인 효력을 가지려면, ‘수거함이 실제로 존재해야 하고’, ‘시민이 접근할 수 있어야 하며’, ‘지속 가능한 운영 체계가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는 조건이 충족돼야 한다. 문제는 대한민국 곳곳에 이러한 조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