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은 인간의 생명을 지키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존재지만, 사용 후 남겨지는 폐의약품은 또 다른 환경 위협 요소가 된다. 감기약 한 알, 유통기한 지난 연고 하나도 방치되거나 잘못 버려지면 하수나 토양을 오염시키고, 수질 정화 시설에서도 걸러지지 않는 화학 성분이 생태계로 흘러 들어가 약물 내성균 발생과 수중 생물의 생식 장애까지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한국만의 일이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에서도 공통적으로 부딪히고 있는 고민이다. 각국 정부와 지자체, 약사회, 시민단체 등은 폐의약품을 안전하게 수거하고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와 실천 방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그 접근 방식은 국가의 환경 철학과 보건 시스템, 시민의식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특히 한국과 유사하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